본문 바로가기
Counselling Stories/Psy. Tests

HTP 검사 집-나무-사람

by Sangdam 2021. 1. 16.

 

HTP는 무엇인가?

HTP는 집 House - 나무 Tree - 사람 Person 그림을 통해 검사를 받는 사람, 즉 피검사자의 심리를 알아보는 투사검사의 일종이다. 투사검사란 검사의 각 질문에 일정한 답이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피검사자가 그 검사에서 제시되는 자극 즉 문항이나 그림을 보고 떠오르는 자신의 생각, 느낌, 감정 등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하여 이를 통해 그의 심리를 파악하는 검사다. 즉 피감사자들은 검사자극에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 충족되지 않는 욕구와 바람, 문제 상황 혹은 불안과 같은 내면의 심리를 투사해 드러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심리검사에는 Rorschach검사, 문장완성검사 등이 있으며 집-나무-사람 검사도 이에 해당한다.

피검사자들에게 집, 나무 그리고 사람의 그림을 그리게 한 후 이를 통해 얻게 된 정보를 통해 피검사자의 내면의 세계를 해석하는 검사인 HTP 검사는 John Buck(1948)과 Emmanuel Hammer(1958)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서 3세 이상의 어린이와 성인을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어지는 투사검사 중의 하나다. 그는 이 검사의 해석을 위해 350페이지에 이르는 매뉴얼을 저술하기도 했다. HTP검사는 다른 투사검사와 같이 통계적인 타당도와 신뢰도에 있어 항상 문제가 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검사는 실시가 용이하고 짧은 시간 안에 피검자의 심리를 파악할 수 있으며 언어적이거나 문화적인 제약에서 자유스럽다는 점 때문에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특별히 HTP는 Wechsler지능검사를 포함한 여타의 지능검사와 높은 상관관계를 맺고 있는 검사이며, 많은 경우 Rorschach검사, TAT, Bender 및 Wechsler지능 검사와 같은 성격 및 지능 검사의 일부로 시행된다. 또한 개인의 뇌 손상 및 조현병과 같은 일반적인 정신장애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로도 사용되어진다.

 

역사:

Florance Goodenough는 아동의 지능을 검사하기 위해 Draw-a- Man Test(1926)를 고안했다. 즉 그는 이 검사를 통해 피검사자가 세부 묘사를 얼마나 많이 했는가를 측정해 지능에 대한 연구를 시도했다. Florance Goodenough의 검사를 이용해 아동들의 지능을 측정하던 Karen Machover(1949)는 그림의 이해를 통해 피검사자의 성격에 대한 통찰이 가능하단 것을 밝혀 투사적 성격검사로서 인물화 검사를 체계적으로 개발하게 되었다. 이 검사는 피검사자가 그린 남성과 여성에 대한 두 그림에서 인물의 크기, 자세, 내용, 위치, 및 두 그림의 비교를 통해 피검사자의 성격적 특징을 분석하여 설명하는 것이다. 이렇게 그림의 이해를 통해 피검사자의 성격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단 것이 밝혀 지게 되면서 인물화에 더하여 집과 나무를 그리는 것이 추가되었다. 특별히 이들이 추가된 이유는 사람을 그리는 것 보다는 집이나 나무를 그리는 것이 피검사자에게 불안감이나 긴장감을 덜 유발하며 이를 통해서도 성격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House-Tree-Person 즉 HTP 검사는 미국 심리학자 John N. Buck(1906-83)에 의해 개발되어 1948년 Clinical Psychology Monographs 저널에 처음으로 발표되었으며 이후 1969년 업데이트되었다. 피검사자는 집, 나무, 사람을 연필과 크레용으로 그리고 이에 대한 20개의 질문을 받아 답을 하게 된다. 집은 피검사자의 가정생활과 가족관계, 나무는 자신에 대한 무의식적인 감정, 그리고 사람은 그림과 유사하게 해석된 피검사자 자신의 모습을 보여준다는 가정에 기반을 두고 개발된 것이다.

 

검사방법:

검사자는 피검자로 하여금 하얀 종이에 연필로 집, 나무, 사람을 그리게 한 후, 각각의 그림을 보면서 그로부터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한 질문을 던져 답을 듣는 것으로 그 과정을 마치게 된다. 또한 검사자는 피검자가 그림을 그리고 질문에 답하는 동안에 그의 행동과 반응 그리고 그림을 그리는 과정과 그림을 그리는 순서 등을 관찰하여 결과의 해석에 반영한다.

 

검사에 대한 지시:

“지금부터 그림을 그려봅시다. 잘 그리고 못 그리는 것과는 상관없으니 자유롭게 그려보세요”라고 말한 후 A4용지를 가로로 제시하고 “여기에 집을 그려 보세요”라고 지시한다. 혹 피검자가 그림에 대해 다양한 질문을 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마음 내키는 대로 그리라”고 간단히 대답해 준다. 이 후 시간을 측정하고 그리는 동안의 말과 행동 그리고 그리는 순서와 특이 점 등을 자세하게 살핀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나무와 사람 그림을 그리도록 하며 사람 그림은 서로 다른 각각의 성을 그리도록 한다. 그리고 얼굴만이 아니라 전신을 그리도록 이야기한다.

 

질문들:

그림을 다 그린 후 집에 대해서 어떤 사람이 살고 있으며 분위기는 어떤지 그리고 피검자도 그곳에 살고 있는지, 더 그리고 싶은 것은 없는지 등을 물으며 그림 안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한 질문을 하게 된다.

나무 그림에 대해서는 어떤 나무인지, 나이, 계절, 전경, 배경 등에 대한 질문을 하며 더불어 그 나무가 사람이라면 어떤 감정을 가지고 있을지 또한 나무 그림 안에서 이해되지 못한 부분에 대해 질문을 한다.

사람 그림은 그려진 사람에 대한 나이, 직업, 감정, 성격, 생각 등에 대한 질문과 더불어 역시 그림에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에 대해 무엇인지 질문하고 그것을 그린 이유에 대해 들어보도록 한다.

해석:

해석을 위해서는 다양한 측면들이 고려되어져야 한다. 개인의 체험 뿐 아니라, 문화적이며 사회적인 요소들과 교육적인 측면도 반영되어져야 하며 다양한 방어기제과 더불어 그림의 상징성들에 대한 여러 측면들이 함께 해석되어져야 한다.

 

은 일반적으로 가정생활과 가족관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집의 크기는 정상적인 크기여야 하며 너무 작다면 가정생활에 대한 거부를 그리고 집을 너무 크게 그렸다면 가족생활에 앞도 되어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선과 벽돌은 Ego의 영역과 강도를 나타내며 지붕은 환상 속의 삶을 상징한다. 문, 창문, 복도 등은 개방성, 즉 타인과 상호 작용하려는 의지 및 환경과 관계를 맺고 있으며 특별히 음영으로 처리되거나, 셔터, 커튼, 길고 굽은 복도는 자신에 대한 폐쇄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자동차는 방문객을 의미하며 문을 열어 놓았거나 창문이 많이 그려진 그림은 다른 사람들과의 교류에 대한 강한 욕구를 그리고 욕실의 큰 창문은 과시욕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정신적으로 문제를 지닌 사람들은 집 그림에서 지반선을 그리고 집 내부를 밝게 묘사하며 이상한 각도로 혹은 붕괴직전의 집을 그리는 경향이 있다.

 

나무는 일반적으로 개인의 심리상태를 심층적으로 나태내 준다. 나무 몸통은 자아 및 손상되지 않는 성격을 나타낸다. 때문에 나무 껍질에 나타나는 굵은 선이나 음영은 자신에 대한 불안을, 그리고 작은 줄기는 약한 자아, 큰 줄기는 강한 자아의 힘을 나타낸다. 번개에 맞은 것처럼 갈라진 나무는 분열된 성격과 심각한 정신 질환의 신호이다. 나뭇가지는 자아가 자신을 지원하는 노력을 의미하며 때문에 분리된 나뭇가지나 작은 가지는 그 노력이 통제되어 있거나 어려움에 처해 있다는 것을 뜻한다. 뾰족한 가지는 공격성을, 울퉁불퉁한 나뭇가지는 무엇을 얻기 위한 노력이 잘 풀리지 않고 있다는 표시다. 죽은 가지는 공허함과 절망을 의미한다. 잎은 성취의 노력이 성공적임을 나타내며 반면에 잎이 없다는 것은 불모의 느낌을 표현한다. 뾰족한 잎은 공격성을, 잎을 너무 세부적으로 그린 것은 강박적인 경향을 나타낸다. 뿌리는 자신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로서 지나치게 강조된 뿌리는 현실에 과도한 관심을, 반면 죽은 뿌리는 현실과의 단절, 공허함, 절망감을 의미할 수 있다. 시즌이 지났음에도 크리스마스트리를 그렸다면 이는 퇴행적인 환상(즐거운 시간과 가족에 대한 생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성숙하지 못한 의존적인 성격을 드러낸다.

 

사람은 자기개념이나 신체 심상을 나타낸다. 팔은 환경에 다가가는 방식으로서 팔을 벌리고 있으면 교류하려는 의지를, 닫힌 팔은 방어적임을, 분리된 팔은 무력함을, 뾰족한 손가락은 공격성을, 장갑을 낀 손이나 숨겨진 손은 불안이나 반사회성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다리와 발은 나무의 뿌리와 같으며 힘을 나타낸다. 입은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방식으로서 입을 크게 벌리고 있으면 궁핍함을 아름다운 입술은 성적인 욕구를, 꽉 다문 입은 욕구에 대한 거부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로봇을 그렸다면 정신적인 감정상실, 카우보이 그림은 남성화에 대한 강한 요구 등을 의미한다. 사람을 너무 세부적으로 묘사한다면 강박적인 면이 있음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며 반면, 세부 묘사가 현저히 부족하다면 낮은 에너지에 대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댓글